본문 바로가기
::나무와함께

긴장과 이완의 공간, 종로타워 앞 광장에서

by 나무에게 2013. 12. 23.

긴장과 이완의 공간, 종로타워 앞 광장에서 / 온형근



일반적으로 사무 환경이라 함은 실내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심미적 또는 환경 요소들의 모든 구성을 지칭한다. 사무 환경에서 실내 공간의 비중은 대부분 컴퓨터 관련 제품에 의해 좌우된다. 그만큼 컴퓨터가 차지하는 공간감은 크고 사용 빈도 역시 대단히 높다. 실내 사무 환경 구성은 그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취향을 반영하며, 거꾸로 공간구성원에 의해 사무 환경이 변화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내 환경이 아무리 쾌적하여도 특별히 만족할만한 공간감을 느낄 수 없다. 쾌적함과 사유를 동반한 휴식을 제공하기에는 충분치 않다는 말이 된다.

오피스빌딩 내부 공간의 실정과 달리 외부 공간은 이러한 부족한 환경 요소들을 채워줄 수 있는 역량을 가진다. 오피스빌딩 조경은 다른 공간에서의 조경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건물을 장식하는 미적인 효과만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디자인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기능적인 효과를 요구하고 있다. 빌딩 내부 공간과 연계하여 외부 공간이 지니는 기능 요소로는 주차, 휴게, 관리 기능이 포함된다. 나아가 빌딩 주변의 다른 건물 및 가로의 경관과 이어져 삭막한 도시 전체 경관을 부드럽게 한다. 부드럽다는 것은 경관의 이미지를 보다 자연적인 경관으로 변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 오피스빌딩 조경은 사적 프라이버시를 채워주는 공간이 아니다. 오피스빌딩 구성원의 이용을 넘어서 도시 전체 시민들에게 열려 있는 공간, 즉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인 것이다. 따라서 오피스빌딩 조경의 기본 개념은 공공적인 장소를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출발한다. 서울의 경우, 오피스빌딩 조경이 제대로 이루어진 곳이 많은 편이다. 그 중 대표적인 오피스빌딩 조경을 소개하면서 오피스빌딩 조경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비교적 최근에 구 화신 백화점 자리에 터를 잡은 종로타워가 그곳이다. 이곳에는 국세청이 입주해 있다. 종로 사거리라 하면 이곳을 말할 정도로 인지도가 매우 높고, 주변에 다양한 문화가 꽃필 수 있는 입지적 조건을 갖춘 곳이다.

종로타워 자체의 건물 형태도 독특하다. 멀리서 바라보면 건물 꼭대기의 형상이 전체의 분위기를 흡인하는 힘이 있는데 마치 사마귀의 모습을 구상화시킨 듯 하다. 건축 전문용어로 탑클라우드(TOP CLOUD)라고 하는 공중에 떠 있는 듯한 상층부가 있기 때문이다. 종로타워 빌딩 조경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빌딩 바로 앞 광장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앞 공간은 방문자들의 처음 접하는 곳이므로 좋은 인상을 주어야 한다. 따라서 미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장식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건물로 진입하는 공간의 규모와 형태에 어울리는 개념을 적용해야 한다. 진입하기에 편리한 포장된 진입 광장을 확보하여야 하고 환경 조형물이나 수경 시설물, 조경 시설 등이 배치되어야 한다.

휴먼스케일을 무시한 도심의 심술 사나운 폭력자처럼 우뚝 세워져 있는 건물 외관과 달리, 종로타워 앞 광장 공간은 그나마 인간적이다. 포장된 광장에 공룡시대에 함께 했던 살아 있는 화석인 메타세쿼이아를 식재하였다. 도시 오피스빌딩 조경에서 다양한 조경 식재 기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것은 건물과 주변 형태가 정형적이라는 데 있다. 이러한 한계로 인하여 지나치게 도식화된 식재 형태가 몰개성적으로 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경 수목의 수형을 면밀히 검토하여 빌딩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메타세쿼이아는 원추형의 수형을 지녔고 원줄기가 곧게 하늘을 향해 자라는 것이어서 종로타워 빌딩의 수직적 높이를 따라가기에 상호보완적이다.

그러나 작가는 정형적 수형의 메타세쿼이아를 선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형화된 패턴을 거부하였다. 정형화된 수형의 나무를 이용하여 대칭 또는 균형의 미를 선택한 것이 아니라, 통일성과 다양성이 조화될 수 있도록 동양의 천지인 사상에 바탕을 둔 부등변삼각형 식재 기법을 창의적으로 확대 연결하여, 활동적이고 부드럽고 유쾌한 아름다운 공간 배치를 시도한 것이다. 거대한 나무를 심어야 했기에 관수 시설을 꼼꼼하게 설치하여 식재 후의 관리에 만전을 기했으며, 공간 배치의 넉넉함과 조여줌에 의하여 긴장과 이완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도는 조경 시공 이후 발생되는 인간 행태로 여실히 증명되고 있다. 각종 공연이 이 넓지 않은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때로는 독특하게 디자인된 벤치에서 기다림의 여유를 지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로타워 앞 공간의 랜드마크(landmark)는 메타세쿼이아이다. 메타세쿼이아로 랜드마크적 의미를 잘 살렸으며, 또한 보행자 통행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식재 패턴을 적용하여 개방적이고 투과성이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비해 옆 공간의 세밀한 묘사 부분은 매우 특출나다. 주택정원의 정치(精緻)함 못지 않는 곳이 이곳 빌딩 주변 조경이다. 도시라는 환경을 잠시 잊을 수 있을 정도이다. 빌딩 주변을 살펴보고 잠시 머무를 여유가 없다면 이곳은 그냥 지나치기 쉽다. 지상부의 교목과 소교목, 관목, 지피식물 등이 어우러져 중층(重層) 식재층을 형성하고 있다. 당장이라도 다람쥐가 튀어나올 정도로 무성하며, 견고하게 다져진 보디빌더의 몸 같은 수풀이다.

면적이 얼마 되지 않는 빌딩 옆 공간에, 중층의 숲을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의 신선함과 생각을 식재 시공으로 표현해냈다는 데 외경심이 생길 정도이다. 도시에서 생태적 식생 구성이라는 것은 여전히 요원한 일이다. 디자인 측면에서 인공섬 같은 도시에 숲을 만들려는 시도 자체가 비생태적 사고일 수 있다. 그러나 종로타워 빌딩 조경처럼, 주어진 물리적 여건 그대로를 수용한 채, 거기서 출발의 첫 삽을 뜨고, 살아 생동하는 긴장과 이완의 공간으로 율동을 갖추게 한 것은 매우 높이 평가할 만한 일이다. 오피스빌딩 조경의 본보기가 종로타워 조경이라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