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와함께

반계수록의 저술

by 나무에게 2013. 12. 24.

반계 유형원 선생이 반계수록을 저술하였던 부안을 찾았다. 위당 정인보 선생이 조선 실학의 3대가로 반계 유형원, 성호 이익, 다산 정약용으로 규정한 것은 타당하다. 성호 이익 선생의 제자 였던 다산 정약용 선생은 이익 선생을 통하여 반계를 만난다. 다산은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조차 반드시 읽어야 할 책으로 반계수록을 지정해준다. 그만큼 학문의 위계가 짜임새 있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Test NIKON | E5000 | Program | Multi-Segment | 1/25s | F 4.8 | 0Ev | ISO-100 | 21.4mm | No Flash

이정표도 정확하지 않아 자주 왔던 분조차 입구를 지나치고 만다. 대체 반계 유형원 선생이 이런 대접을 받아도 괜찮을까. 올라가는 길에서도 확연히 관리가 안되고 있음을 느낀다. 오히려 입구에 잘 지은 현대식 주택이 반계 선생님이 반계수록을 저술한 초라함을 더욱 강렬하게 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묶여 있던 염소가 더 구슬피 울어 댔는지 모른다.

Test NIKON | E5000 | Program | Multi-Segment | 1/121s | F 3.7 | 0Ev | ISO-100 | 8.3mm | No Flash
Test NIKON | E5000 | Program | Multi-Segment | 1/30s | F 2.8 | 0Ev | ISO-100 | 7.1mm | Flash
Test NIKON | E5000 | Program | Multi-Segment | 1/22s | F 4.4 | 0Ev | ISO-100 | 18.8mm | No Flash

입구에 들었을 때, 우물이 있었다. 매우 척박한 땅이다. 건물 자체의 관리는 논의할 수 없다. 매우 말라 있는 우물을 지나 안으로 들면 다시 건물을 바라보며 오른쪽에 우물이 있는데, 여기에는 물이 조금 고여 있다. 산 등성 아주 높은 곳에 자리한 건물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수맥이 뭉쳐 있다. 함께 답사한 분이 수맥을 측정하는 것을 보고 물었더니 그렇게 답한다. 반계수록의 유형원 선생이 살아 생전 이곳에서 저술 활동을 하였던 것이다. 실학의 비조라고 할 수 있는 분의 유적지 조경이 이렇다. 대체 누구에게 이 처사를 바르다고 따져볼 수 있겠는가.

Test NIKON | E5000 | Program | Multi-Segment | 1/18s | F 2.8 | 0Ev | ISO-100 | 7.1mm | No Flash

수맥에 대하여는 잘 모른다. 다만 풍수적으로 좋은 자리는 보기에도 편하고 그윽한 마음이 솟는다는 말에는 동의한다. 이곳은 사람이 잘 찾지 않는다. 다산 정약용 선생이나, 추사 고택에는 찾는 사람이 그득하다. 전문적으로 실학에 대하여 깊이 있게 연구하거나 관심 있는 사람 말고는 부안 반계의 유적지를 찾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성호와 다산에게 직접적으로 정신적 영향을 전해 준 반계의 유적지 관리가 이럴 수밖에 없는 것인가. 대체 국가는, 지방자치단체는 최소한의 예산 배정을 어떻게 하고 있는 것인가.

Test NIKON | E5000 | Program | Multi-Segment | 1/46s | F 2.8 | 0Ev | ISO-100 | 7.1mm | No Flash
Test NIKON | E5000 | Program | Multi-Segment | 1/46s | F 4.4 | 0Ev | ISO-100 | 18.8mm | No Flash
Test NIKON | E5000 | Program | Multi-Segment | 1/100s | F 3.5 | 0Ev | ISO-100 | 7.1mm | No Flash

멀리 바다가 보이는 너른 들판만 해도 다산초당에서 강진만을 바라보는 듯 일견 호연하다. 그러나 산 둘레를 깎아 멀게 보이게 한 의도적 작업은 엿보이지만, 주변의 소나무가 모두 솔잎혹파리로 새까맣게 죽어가고 있는 현실 앞에서는 가슴이 저리기만 했다. 사방의 소나무 모두에게 형벌이 예고 되어 있는 풍광이다. 건물의 문풍지는 찢어져 나갔고, 오래된 그대로 방치된 이곳은 거의 흉가에 다름 없었다. 그랬다. 실학정신의 비조라 할 수 있는 반계 유형원선생의 유적지는 당장이라도 뭔가 튀어 나올 정도로 귀기스러웠다. 아주 한꺼번에 고쳐 나가는 것이 아닌, 적은 예산으로 하나씩 만들어 나가야 할 소중한 한국인의 정신적 자산 아닌가. 이보다 더 급한 일이 그리 많다는 말인가. 안타깝고 하도 안타까워 부안 반계 유적지에 다녀온 것을 숨기고 싶다. 그래서인지 다녀 와서는 한동안 먹통처럼 그쪽 하늘과 산 가운데 박혀 있는 커다란 바위처럼 둔중해져 있기만 하다.

'::나무와함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심을 경계하며  (0) 2013.12.24
강진만을 사이에 둔 세월  (0) 2013.12.24
사적지 또는 유적지 조경의 쓴소리  (0) 2013.12.24
다산의 언덕, 비탈면 화계와 채원  (0) 2013.12.24
공진화-共進化  (0) 2013.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