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와함께

다산의 언덕, 비탈면 화계와 채원

by 나무에게 2013. 12. 24.

다산의 언덕, 비탈면 화계와 채원 / 온형근


다산 초당의 건물 크기만한 연지를 본다. 다산 초당은 조경 답사 관계로 몇 번 다닌 곳이다. 그렇지만 이번은 여러 해를 지난 후에 찾았기 때문에 설레였다.

 

막상 다산 초당의 경관을 살피는 일은 막막하다. 정원 혹은 조경이라는 측면에서 눈에 확 트이는 것을 볼 수 있다는 생각이 그렇다. 사실 외연을 기대한다면 잘못이다. 다산 초당의 조경은 내연을 바라보아야 한다. 외연과 내연의 조화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연지와 석가산은 다산 초당의 건물만큼 뚜렷한 외연을 지녔다. 다산 초당의 공간에서 가장 드러나는 곳이다. 보통 동양에서 신선설에 입각한 정원을 조영하는 것은 선비들의 일반적인 경향이다. 신선이란 무엇인가. 세상사의 깊이와 내용을 그대로 읽어 내면서도 세상사와 비껴 있는 삶을 지닌 게 아닌가. 그래서인지 연지와 석가산은 매우 드러내는 공간이다. 정석과 약천과 다조가 내연을 지닌 경물이라면 연지와 석가산은 그대로 보여주는 공간이다.  

다산 초당에서 연지석가산을 향하여 관어제觀魚齊라고 쓰여 있다. 예전에도 있었던 것인지, 근래에 붙인 것인지 잘 모르겠다. 다산이 초당 옆에 석가산을 만든 것은 신선들의 섬인 봉래도를 상징적 의미로 차용한 것이다. 다산 뿐이 아니라, 한국 전통 조경에서 삼신산은 자주 등장한다. 삼신산이란 봉래, 방장, 영주의 3산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금강산·지리산·한라산을 삼신산으로 불렀다. 사기 史記에 의하면, 이곳에 신선이 살고 있으며, 불사약不死藥이 있다고 전해진다. 다산은 정원 가운데로 신선을 부르고자 함이었을까. 가끔 다산 스스로 신선이어 청정한 세월을 지녔을까. <다산초당사경첩> 중에 연지석가산 부분에서 다산은 석가산의 괴석들을 먼 바다에서 일부러 가져 왔다고 했다. 봉래는 신선들이 살고 있다는 바다의 섬이다. 이처럼 다산은 사유가 곧 실행으로 이어지는 철저한 실학 정신을 바탕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신선의 나라에서 가져온 돌로 신선의 섬을 만든다는 실천이다.  

<다산화사> 둘째 수에 '중기삼봉석가산'이란 말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삼봉이, 봉래, 방장, 영주의 삼신산이다. 연지 뒤 언덕 비탈면에는 5~6단의 화계가 꾸며져 있었다고 한다. 초당의 오른쪽 정석으로 가는 비탈면에는 채소를 기르는 채원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지금은 이 두가지의 언덕 비탈면의 실용적인 활용을 알 수 없다. 둘 다 훼손되어 있다. 기록에 있는 경관을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쉽다.

<다산화사>에 나오는 식물만이라도 다산 초당에 배식되어 시와 경관이 함께 어울린다면 얼마나 좋을까. 시와 경관이 함께 하는 공간은 여전히 꿈이기만 할까. <다산화사>의 첫째 수는 초당, 둘째 수는 방지와 석가산, 그리고 다음 수부터는 계절마다 피어 나는 꽃들을 노래하고 있다. 노래한 식물만이라도 다산 초당에 심겨져야 한다. 매화나무, 복숭아나무, 동백나무, 모란, 작약, 수국, 석류나무, 치자나무, 배롱나무, 해당화, 해바라기, 국화 등이 있고, 또한 실용적인 식물로 지치, 포도, 미나리 등의 약용, 식용 식물까지 노래하였다.

<다산화사>와 <만춘>이라는 시에는 목본 식물 25종과 초본 식물 25종이 다산 초당에 식재되었음을 알려준다. 초당의 뜰에는 배롱나무, 동백나무, 매화나무, 복숭아나무, 살구나무, 유자나무, 석류나무, 포도 그리고 차나무가 식재되었으며, 동백나무와 대나무 외에도 작약, 황매, 국화, 연 , 그리고 파초 등이 일부 식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초당의 뒷 편 언덕 암벽에는 丁石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정석은 신선 동굴로 들어가는 바위를 상징한다. 다산은 이곳에 멋진 시를 써 넣을 수도 있었을 텐데, 정석이라는 말로 정서를 감춘다. 어쩌면 뭔가 다산의 내면에 있는 토로가 시로 나타날 법한데, 몇 번이나 망설이고 감추었을 것이다.  그렇다. 돌에 새긴다는 것은 먼 훗날까지를 기약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니 돌에 인간의 뜻을 담는 것은 신중해야 할 일이다. 자연에 인간의 의지와 뜻과 행위를 새기는 일 모두가 지극히 신중하고 또 신중해야 할 일이다. 그러할 때, 환경과 자연은 인간과 더불어 함께 나아갈 수 있는 넉넉함을 갖추게 된다. 다산의 정석을 보면서 절제미를 배운다. 절제야 말로 환경 문제와 자연 재해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다.

다산 초당 앞마당에는 다조가 있다. 차솥을 얹어 놓는 부뚜막이다. 찻물을 끓이는 바위인 셈이다.  다산은 강진으로 유배 되기 전까지 궁궐의 정원과 경기도 및 강원도 이남이 있는 수많은 누정과 별서, 원림 등을 보아왔다. 또한 스스로도 관사나 관청의 마당에 정원을 손수 꾸민 적이 있어 경관을 보는 눈이 남다르다.  1797년, 36세 때 지은 <죽란화목기竹欄花木記>는 한양의 명례방에 있는 자기 집의 마당에 관하여 기록하고 있고, 1798년 6월부터 2년간 곡산부사로 봉직할 때, 부의 정각을 세우고 정원을 꾸몄다고 하는 <서향묵미각기書香墨味閣記>가 전해지는 것만으로도 다산의 작정 의지를 읽을 수 있다. 그런 그가 마당의 한 편에 바위를 떡하니 두었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경관에 대한 안목이 남다른 다산이다. 그러니 다조는 경관의 아름다움 이전에 실용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는 게 분명하다. 다산의 실학 정신이 이처럼 극명하게 드러나는 것 또한 없을 것이다. 다산에게 정원은 더 이상 관념이고 유희가 아니었던 것이다.

다산 초당의 공간을 조경적으로 나누면 연못주변, 정석 주변, 다조 주변, 그리고 약천 주변으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은 또한 몇 가지 경물景物을 추가하면서 나름대로의 경관적 질서와 미를 지닌다. 이는 <다산초당사경첩>의 초당의 네 가지 경관에 대한 기록과도 일치한다. 다산은 약천을 파서 차를 끓였던 것이다.  다산이 다산 초당에서 생활하기 전에 지은 <상심락사>는 다산 초당 이전의 어떤 정원에 대한 시이다. <상심락사>에서 노래한 내용이 나중에 다산 초당의 경관에서 나타난다. <상심락사> 제 4 영을 보면 "도 닦는 사람은 가슴을 깨끗이 씻고자 하는데/ 한 줄기 샘은 신령스런 물줄기로구나/ 사슴은 가끔 와서 물을 마시고는/ 모습은 안 보이고 자국만 내고 갔네"라는 시구가 있다. 약천에 가끔 사슴이 내려와 물을 마시고 간 흔적, 새벽에 만나게 되는 광경이 시절을 뚸어 넘어 환하다.  <다산화사> 제 1 수에도 "석간수 맑은 곳에 그윽한 집 있다네"라고 초당을 표현한다. 그래서 약천은 다산의 젖줄이고 생명이다. 그리고 찻물로 이용되면서 정신을 맑게 하고, 다산의 저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그윽한 기운이다.

다산 초당을 여러 번 갔지만, 초당에서 백련사로 이어지는 길을 걸어 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주변에 야생 차나무를 보면서 다산의 발길과 사색을 느껴본다. 무엇보다 아쉬운 것은 연못 뒤의 화계와 정석 근처의 채원이 복원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일하지 않는 일확천금을 꿈꾸는 사람들이 많아진 세상에서 산중에서도 채원을 가꾼 정신을 어찌 되살리지 않을 것인가. 연못으로 들어가는 비폭의 물이 넘쳐 초당 앞으로 흐를 때도, 물이 아까워 단을 쌓고 미나리를 기른 다산의 실사구시가 다산 초당의 진면목이어야 하지 않을까. 그러기에는 다산 초당은 너무 어둡다. 숲이 우거진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는 화계도, 채원도, 미나리 밭도 어렵다. 다조를 햇빛에 말려 소독시키는 일도 쉽지 않다. 맑은 햇살이 좀 더 자주 다산 초당에 머물게 하여야 한다. 하늘을 열어 우러러 볼 수 있어야 한다. 다산도 원하고 있을 것이다. 유배의 세월이 지났는데도 다산 초당은 "햇볕 쪼이는 기름진 물(윤선도)"을 만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