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와함께

사적지 또는 유적지 조경의 쓴소리

by 나무에게 2013. 12. 24.

사적지 또는 유적지 조경의 쓴소리 / 온형근


안산에 있는 성호 기념관을 다녀왔다. 다산연구소에서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실학기행에서, 남양주 다산 생가를 답사하고 두 번째로 도착한 곳이 안산에 있는 성호 기념관이다. 그동안 안산이 실학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제대로 모르고 지냈다. 단원 김홍도도 어린 시절과 청년 시절을 안산에서 보냈다고 한다. 단원이 있기까지  표암 강세황 선생의 역할은 크다. 단원은 당시 안산에 거주하며 활동하던 표암 강세황에게서 그림을 배워 조선의 대표적 풍속화가로 성장한 것이다. 단원, 표암, 성호 이 세 분만 해도 안산은 가히 문명을 구가하던 도시인 것이다. 공장이 많은 곳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는 순간이었다. 성호 이익의 학풍은 안정복, 이가환, 이중환, 정약용으로 이어진다. 얼마나 엄청난 사실인가. 성호 이익은 반계 유형원의 학풍을 이어받았다.


반계 유형원 선생이 반계수록을 남겼다면 성호 이익 선생은 성호사설을 남겼다. 성호집에 나오는 선생의 붕당론은 유명하다. 모든 당쟁의 원인은 이익 추구에 있다. 벼슬을 하고 싶은 욕망에서 당쟁이 번진다는 것이다. 당쟁이냐 정의로움이냐의 근본적 식별은 사익을 추구하느냐 공익을 추구하느냐에 달려 있다. 공익을 추구하는 삶이 유난히 필요한 세대다. 성호 선생의 말이 더욱 빛을 발해야 한다. 이는 이중환의 택리지 인심조에 나오는 말과도 통한다. 현명하고 훌륭한 사람의 기준은 당색에 있다는 말이다.  이러한 안산의 성호 기념관을 둘러보고 나올 때, 아쉬웠던 점은 기념관의 길쪽으로 심어 둔 나무가 스트로브잣나무였다는 점이다. 물론 길 쪽의 가로수 역시 메타세쿼이아였다. 도입식물로 사적지 또는 유적지의 조경 식재가 이루어진다는 것은 잘못된 조경이다. 조경의 개념을 세울 때부터 어떤 의미와 역사인식을 불어 넣은 것이 아닌, 그냥 조경업자가 가지고 있는 나무를 편의를 봐주는 식으로 식재 설계에 반영한 것이 분명하다. 안산의 녹지 정책 또는 조경관이 이처럼 비난받아 마땅한 것은 또 있다. 경기 기념물로 지정된 성호 이익의 묘소가 그랬다. 도대체 관리가 잘 안되고 있는 것은 둘째 치고라도 묘소 주변에 식재된 조경수를 보면서 착잡하기 이를 데 없었다. 사적지나 유적지는 엄숙하고 정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참배객이나 방문자의 옷깃을 세울 수 있을 정도의 경관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계단을 오르면서 주변에 삭초가 되지 않아 관리 허술이 보였지만, 시기적으로 성하의 계절이라 이해할 만한 내용으로 치부하였다.그러나 묘소 주변에 있는 외래수종의 무분별한 식재는 공간의 성격을 너무 헤아리지 않은 처사였다. 메타세쿼이아가 우람하게 그늘을 형성하고 있었다. 메타세쿼이아를 씁쓸하게 바라보고 시선을 돌리니, 목련을 건너 곧바로 튜립나무가 식재되어 있다. 묘소 뒷편으로는 소나무가 식재되어 그나마 다행이라는 생각을 하였지만, 성호 이익 선생의 사당에서 다시 스트로브잣나무가 세력을 과시하고 있는 모습을 발견하다. 대체 어쩌자는 것인가. 역사적인 공간에서는 그 시절을 호흡한 사람과의 숨결을 나눌 수 있어야 한다. 성호 선생은 메타세쿼이아나 튜립나무, 스트로브잣나무와 전혀 인연이 없다. 후세 사람들이 분별 없이 조경을 한다고 묘역을 꾸민 것인데, 인식의 초라함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성호 기념관의 복잡한 식재 패턴도 눈쌀을 찌푸리게 하기에 충분하였지만, 성호 선생의 묘역 역시 잘못된 옷을 입고 있었다. 좀 더 단아하면서도 절제된 식재가 묘역을 채워야 한다. 엄결하고 옷깃을 여밀 수 있는 분위기의 조경 식재가 요구되는 곳이다. 한결같이 예산만 탓하고 있는 현실이다. 예산 이전에 역사의 살아 있는 정신이 더욱 요구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