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와함께

시장에서 그리고 동네에서, 유년의 미소-마애석불

by 나무에게 2013. 12. 24.

시장에서 그리고 동네에서, 유년의 미소-마애석불 / 온형근




서산 사람들의 충청도 사투리는 독특하다. 그들의 투박하면서도 정감어린 사투리가
충청도 사투리의 원조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서산 사람들 하면 떠오르는 친구들이 있다.
대여섯은 되는데 모두가 한결같이 비단결같은 심성을 지닌 친구들이다.
서산 근처에 여행을 온 것은 많지 않았다. 예전에 수원에서 대중교통에 의지하여 이곳을
찾은 적이 있었는데 참으로 긴 여정이었고, 지칠대로 지쳤던 여행이었다.
이곳에 있는 친구들을 불러내 서산 읍내 어떤 횟집에서 잘 먹지도 못하던 회를 맛있다고
눙치면서 먹었던 기억이 새롭다. 그때는 왜 그렇게 육지고기든 바다고기든 고기를 먹지
못하였는지 모르겠다. 고향 말로 한마디로 표현하면 <빈내>가 났기 때문이다. 빈내나는
음식에는 코를 맡기지 못하였는지 모른다. 지금 그 친구들이 보고 싶다. 이참에 한 번
만나야겠다는 말들이 오고가기 때문이다.

서산 마애석불을 찾아가는 길은 아늑하였다. 단풍이 가라앉은 후였다. 계곡으로 물이
많지 않았지만, 분명 절경이었음을 알 수 있는 곳이었다. 마애라는 말이 상징하듯
깎아지른 듯한 바위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오르는 동안의 왼쪽 계곡이 심상치 않았다.
물만 제대로 갖추어 있는 계절이라면 이곳은 하루 종일 곁에 앉아 쳐다보아도
심성이 안정될 수 있는 과연 절경일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모두 가야산 줄기였다. 저수지가 곳곳에 많은 것을 보면 이곳에 논농사를 많이 짓던
곳임을 한번에 알 수 있었다. 지금 이곳 사람들의 풍요로운 젖줄이 쌀농사는 아니겠지만
한때 쌀농사만이 자식을 공부시킬 수 있었던 시절이 아니었던가.

차에서 내리고 안내 지도를 보고 난 후에 다리를 오른다. 다리를 보니 참으로 옛생각이 났다.
시멘트가 한창 유행하던 시절의 전형적인 다리 모양이었다.
한동안 이 시멘트 문화를 얼마나 경멸하였던가. 새마을 운동과 함께 보급된 <새마을표 다리>가
마애석불을 뵈러가는 초입에 걸쳐 있었다. 이또한 마애석불의 힘인가. 이렇게 만난 새마을표
다리 조차 오늘은 마냥 친근해 보이기만 하다. 아주 오래된 친구를 만난 것처럼 이 다리의 모양과
디자인이 마음을 놓이게 한다. 얼마전에 다녀왔던 정동진의 철교처럼 멋을 내지 못한 이 시멘트
다리가 어쩌면 이렇게 반가운 것인가 말이다.

다리를 건너자마자 하마비 같은 비석이 하나 보인다. 자세히 허리숙여 살펴보아야 그게 하마비가
아니라 국보 제 86(???)호 서산 마애석불 이라는 국보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그 글자는
잘 보이지 않는다. 헤질대로 헤진 상태로 자세히 살펴보아야만 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미
마애석불을 뵈러 왔는데 그 글자가 대수였겠는가. 헤진만큼 내 기억력 또한 헤져있는가 보다.
국보비가 다리건너자 마자 급하게 마주치게 놓여있다는 게 동선상에도 그렇게 사람을 다급하게
하는 것도 그렇게 어쨌든 위치가 참으로 마땅하지 않다. 사실 마애석불을 뵈러 가는 숙연함은
새마을표 다리를 건너기 전에 옷매무새를 바로잡지 않았던가. 속세에서 경건한 곳으로 건너는
그 다리를 이미 건너왔던 것을 국보비 하나로 흠을 잡을 필요는 없다.

마애석불로 가는 길은 낯설다.
이곳의 돌과 언덕의 경사도는 낯설어 이국적이기만 하다.
그렇다면 그 이국적이라는 말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동네에서 그리고 사는 곳에서 자주 만나지 못하는 경관이라는 것일게다.
경관이 이국적이라는 것은 색다르다는 말에 가깝다. 이국적이라니? 많은 나라를 두루 섭렵하지
못한 사람들이 색다른 경관을 만났을 때 자주 사용하는 말이 아닐까 싶다. 아무튼 나는 이국적
인 진입공간을 걷고 있는 셈이다. 마치 무협의 세계에서 머리로만 상상했던 그런 경관이 아니
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왼쪽으로 제법 깊은 절벽이 있고 오른 편으로도 만만치 않은 절벽
이 산을 배경으로 위용처럼 자리하고 있다. 계단을 오르는 숨이 벅차기 시작한다.

협곡에서 나무들이 하늘을 직립하며 뻗쳐 있었다. 누가 물었다. 이 나무는 무슨 나무냐고 말이다.
단풍이 모두 진 낙엽활엽수를 판단한다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러나 그 나무는 신나무였다.
단풍나무의 일종인 신나무였기에 답하기가 수월했다. 이곳에서 만난 식물은 줄사철나무도
특징적이었다.암자 뒤 큰 바위벽을 타고 자란 줄사철나무가 독특한 인상을 주었다. 식물이
사람에게 독특한 경관 기억을 주는 것은 늘 바람직한 기억으로 남는다. 잎이 떨어지기 전의
협곡은 계단 위에서 아래의 걷는 사람이 보이지 않을 것이다. 참으로 숨겨주고 보여주고 하는
협곡의 계단 형태일 것이다. 낙엽이 진 지금은 그렇지 않지만 말이다. 전체적으로 오르는
길은 그렇게 보여짐과 감춰짐의 연속이었다.

그리고 만나게 된 마애석불.
교과서에 소개된 그림으로만 보았던 그 마애석불, 사실 교과서에서 보았는지 알 수 없다.
다만 그렇게들 소개되고 있으니까 교과서에서 본듯하다는 추정이 앞섰을 것이다.
마애석불, 무엇이든 한마디로 압축하여 표현하는 것이 큰 실례가 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그랬다. 시장아저씨이고 동네아저씨였다. 친근한 이웃집아저씨였다.
요즘이 아닌, 60년대의 시장아저씨, 동네아저씨인 것이다.
새마을표 다리가 만들어지던 그 시절에 많이 보았던 그런 아저씨였다.
지금 모두가 세련되어져 더 이상 만나기 힘든 그런 아저씨였다.
사람들이 <백제의 미소>라고 하는 저 모습을 나는 새마을표 다리가 만들어지던 그 시절의
막걸리 한사발을 들이키며 허허 웃던 아저씨들에게서 마지막으로 본 것이다.
내 부친 또한 그 속에 머물었던 것이다.
내 유년의 미소 또한 그 속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