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작시::/온전한 숨 :: 나무 詩

국화 분재

나무에게 2024. 11. 20.

국화 분재

온형근

 
 
 

   남모르는 시간,
   발뻗으려 힘주다 종아리에 쥐가 나는
   갈 곳 막혀 빵빵해진 거기를 칼로 찌르면
   모세관으로 흐물흐물 묽어질까

   팽팽하게 샛노랗게 피어날까
   얇은 꽃망울 안에서 이미 다 벙거진
   가을 분재국, 옹기 화분 내딛고 피었으니
   친구의 마음이 은은하여 아득하다.
   질리지 않는 복성스러운 노랑

   기러기 날아들고 참새 숨고
   국화 환해지는 줄 왜 몰랐을까, 소설 즈음하여
   입동 지났고 대설 앞두었으니 이 늦가을로
   쫑알쫑알 뒤쳐 둔 노란 그리움만 뭉게뭉게


 

시작 메모

남모르는 시간, 발뻗으려 힘주다 종아리에 쥐가 나는 순간, 나는 갈 곳이 막힌 듯한 답답함을 느낀다. 마치 내 몸이 이 계절의 무게를 고스란히 짊어지고 있는 듯하다. 그곳을 칼로 찌르면, 모세관을 따라 흐물흐물 묽어질까? 내 안의 긴장과 불안이 풀어지는 것일까. 팽팽하게 샛노랗게 피어날까? 얇은 꽃망울 안에서 이미 다 벙거진 가을 분재국이 내 마음을 비춘다.
옹기 화분에서 피어난 그 꽃은 친구의 마음을 은은하게 전해준다. 그리움은 질리지 않는 복성스러운 노랑으로 물든다. 나를 더욱 아득하게 만든다. 기러기가 날아들고, 참새가 숨는 순환에서 잊혀진 감정을 떠올린다. 국화가 환해지는 줄 왜 몰랐을까? 소설 즈음에서야 입동이 지났고 대설을 앞두고 있음을 안다. 이 늦가을이 참 좋다.
쫑알쫑알 뒤쳐 둔 노란 그리움은 뭉게뭉게 피어오른다. 마음 깊은 곳에서 울림을 만든다. 풍경은 변화가 아니라, 내 안의 복잡한 감정이다. 계절은 그리움의 깊이를 선물로 준다. 늦가을의 따뜻한 색을 통하여 주변을 다시 살핀다.
국화 분재가 주는 늦가을이 감정의 거울이 된다. 

 
2024.11.19 - [::신작시::/온전한 숨 :: 나무 詩] - 느티나무 사계

 

느티나무 사계

느티나무 사계온형근      1.    봄,   그대의 품에서 따스한 생각만으로 골몰해지는 사이   얼쑤절쑤 어깨 들썩   흔들리는 그대의 신록으로 들뜨는 신명    2.   여름,   어쩌다 지치

ohnsan.tistory.com

2024.11.18 - [::신작시::] - 아무래도

 

아무래도

아무래도온형근      머리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을   그리 밝게 지즐대듯 말하곤 밥 한 번   먹자고 익숙하게 이승의 그 흔한 약조를    수제비 국물 한 술 후루룩 삼키더니​   그

ohnsan.tistory.com

 

'::신작시:: > 온전한 숨 :: 나무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갈나무  (0) 2024.12.06
상수리나무 엽서  (0) 2024.11.22
느티나무 사계  (0) 2024.11.19
재나무  (0) 2024.11.11
오리나무 엽맥  (1) 2024.11.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