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실 마을 청암정
온형근
연못 물 빠져나가니 생생하게 용트림하던 왕버들
누웠으나 등골을 바로 세워 위로 솟게 한 새 줄기
지상을 디디고 활개 편다.
한 자 반 돌다리를 막아선 대나무 울도 섧다.
많은 것이 지고 피니 새로 갈 길을 찾는 게 마땅
청암정 정자를 등에 인 거대한 암반의 거북은
대체 곁을 내주지 않을 듯 장엄한데
못을 이룬 석축 호안 주변 낙락장송과 왕버들은 몇 번의 환골탈태를 꿈꾸었을까
지극 간단한 일자형 돌계단 위를 지나면
청암정 계자 난간 붙잡고 우물마루에 앉아 사시가경四時佳景으로 어울린다.
울긋불긋 가을 묵상은 예고했을까 한 겨울 맵시
암벽을 뚫고 돌다리 건넌 단풍나무에게 묻는다.
먼 풍경이 가까운 사람의 온도만 할까
내성천에서 발길 돌린 가계천으로 들락대던 멧비둘기
너의 울음 가닥에 실린 정한을 다잡아 묻는다.
2024.01.18 - [::신작시::/시의 풍경을 거닐다] - 운암과 수운정
운암과 수운정
운암과 수운정 온형근 마치 맑은 가을 하늘 구름 한 조각 어디론가 떠날 줄 몰라 정갈하게 차려 입은 사인암은 볼 게 없다며 먼저 찾았다더니 어느새 오가며 들렸던 옛 사람 몇은 신선의 세례로
ohnsan.tistory.com
2024.01.14 - [::신작시::/조원동 원림] - 유현재幽玄岾
유현재幽玄岾
유현재幽玄岾 온형근 바람길이었던 그의 고개는 달름하다. 호수에서 산 쪽 바라보매 세 번 굴절되어 마지막 고갯길은 아득한 듯 숲이다. 하나를 후미지게 길이로 끌러 두더니 두 번째 고개를 두
ohnsan.tistory.com
2024.01.13 - [::신작시::/조원동 원림] - 완이재를 다시 읽는다
완이재를 다시 읽는다
완이재를 다시 읽는다 온형근 기쁨을 즐겨 살핀다고 객관율을 부여해 완이재翫怡岾, 완상의 즐거움으로 여덟 구비 언덕을 아꼈다. 오르거나 내릴 적에 우회하지 않는다. 맞대면으로 부대낀다.
ohnsa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