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고라니고속도로

간肝

나무에게 2013. 12. 27.

간肝

온형근  

 

 

 

거울로 상기된 눈이 나를 쳐다본다 눈은 간을 읽게 해준다 삼각형을 닮아 있는 간을 매만지다 나무를 만난다 간은 나무의 성질을 가졌다 발갛게 익은 눈망울을 보면서 갈등의 모습을 떠올린다 갈등은 나무의 심재다 심재는 죽어 있는 부분이지만 색을 지녔다 생명이 오고 가는 통로는 아니지만 촉촉하여 살아 있어 보인다 심재처럼 간도 젖어 있을 게다 갈등이 심한 날은 간이 말라드나 보다 바짝 마르다 보니 논바닥 갈라지듯 눈을 벌겋게 상기시켜 호소한다 호소는 늘 눈망울로 젖어있다


Liver

Ohn Hyeong-geun

 

 

 

The eyes reflected in the mirror look at me. The eyes allow me to read the liver. I touch the liver, which resembles a triangle, and encounter a tree. The liver has the qualities of wood. Looking at the reddened eyeballs, I recall the image of conflict. Conflict is the heartwood of the tree. The heartwood is the dead part, but it has color. It is not a passage for life to come and go, but it appears alive with its moistness. Like the heartwood, the liver must also be moist. On days of severe conflict, the liver seems to dry out. As it dries up, it cracks like a parched rice field, causing the eyes to redden and appeal. Appeals are always moist with tears in the eyes.

 


시작 메모

거울 속에서 마주친 붉은 눈동자가 내면을 들여다본다. 그 눈은 간(肝)으로 이어지는 창문이 되어 나를 비춘다. 삼각형 모양의 간을 더듬다 보니 문득 나무와 마주한다. 간과 나무는 서로를 닮아 하나가 된다.

충혈된 눈을 바라보며 내면의 갈등을 마주한다. 그것은 마치 나무의 심재처럼 겉으로는 죽은 듯하나 깊은 색을 품고 있다. 생명의 흐름과는 멀어진 듯하지만, 여전히 촉촉한 생기를 머금고 있는 심재처럼 간도 젖어있다.

갈등이 깊어질수록 간은 메말라간다. 논바닥이 갈라지듯 메마른 내면은 붉게 상기된 눈으로 호소한다. 그 호소는 눈물처럼 젖어있는 눈망울에 고스란히 담긴다. 육체와 정신이 하나 되어 내면의 고통을 드러낸다.

The red eyes encountered in the mirror gaze into the inner self. Those eyes become a window leading to the liver, reflecting me. As I trace the triangular-shaped liver, I suddenly face a tree. The liver and the tree resemble each other and become one.

Staring at the bloodshot eyes, I confront inner conflicts. It is like the heartwood of a tree, seemingly dead on the outside but holding a deep hue within. Though it seems distant from the flow of life, the liver, like the heartwood still moist with vitality, remains soaked.

The deeper the conflict, the more the liver dries up. Just as cracks form on a parched field, the arid inner self pleads with reddened eyes. That plea is fully contained in tear-moistened pupils. The body and mind unite to reveal the pain within.

 

"갈등이 심한 날은 간이 말라드나 보다 바짝 마르다 보니 논바닥 갈라지듯 눈을 벌겋게 상기시켜 호소한다. On days of intense conflict, the liver seems to dry up, and as it dries up completely, it pleads with bloodshot eyes, cracking like a parched field."

 

 
고라니 고속도로
시집 <보이는 혹은 보이지 않는> ,<연작시 : 화전>, <슬픔이라는 이름의 성역> 등을 펴낸 온형근의 신작 시집. 보임과 보이지 않음, 그리고 깨달음으로 이어지는 실사구시의 수행을 흔쾌히 주고받는 저자의 마음이 총 5부로 나누어 수록되어 있다.
저자
온형근
출판
문학의전당
출판일
2007.01.30

'::시집:: > 고라니고속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도 달도  (0) 2013.12.27
테니스 앨보  (0) 2013.12.27
아침 햇살  (0) 2013.12.27
화농化膿  (0) 2013.12.27
조기 매운탕과 아버지  (0) 2013.12.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