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도 달도
온형근
잘못된 것은 들뜸이 아닐까
늘 쳐다보며 다독거려야 할 참인데
무언가 보이려는
그런 것들
별도 달도 놀고 나면
남은 것은 울렁거림
허망한 광대 짓이라고 생각했을 때
억 광년의 우주로 실려 다녔다
Separate stars and moon
Ohn Hyung-geun
Could it be that the mistake is excitement
Always looking and soothing, as it should be
Trying to show something
Such things
After the stars and moon have played
What remains is a queasy feeling
When I thought it was a futile clown act
Carried through the universe of hundreds of millions of light-years
시작 메모
밤하늘을 올려다본다. 반짝이는 별들과 달이 들뜨게 한다. 들뜸은 옳은 것일까. 의문이 든다. 고요한 밤이다. 우주의 신비는 겸손과 친숙하다. 무언가를 보여주려 애쓰는 나 자신을 발견한다.
별과 달이 사라지니 공허하다. 가슴 한켠이 울렁거린다. 우주의 광대함 앞에서 나의 작은 몸짓은 허망하다. 광대의 퍼포먼스처럼 무의미하다. 그 사이에도 나는 우주의 일부였다.
깊어가는 밤, 억 광년의 시간과 공간을 넘나든다. 우주의 한 점에 불과지만, 존재의 울림은 가슴 하나 가득 찬다. 밤하늘을 바라보며 별도 달도 아닌 나는 무르익어간다.
I look up at the night sky. The twinkling stars and the moon make me excited. Is excitement the right thing? I wonder. It is a quiet night. The mystery of the universe is both humble and familiar. I find myself striving to show something.
When the stars and the moon disappear, I feel empty. A corner of my heart flutters. In the vastness of the universe, my small gestures feel futile. Like the performance of a clown, they seem meaningless. Yet, even in that moment, I was part of the universe.
As the night deepens, I traverse billions of light-years of time and space. Though I am but a speck in the universe, the resonance of existence fills my heart completely. Gazing at the night sky, I ripen, neither a star nor the moon.
"별도 달도 놀고 나면 남은 것은 울렁거림이다. 허망한 광대 짓이라고 생각했을 때 억 광년의 우주로 실려 다녔다. After the stars and the moon have played, what remains is a throbbing sensation. When I thought it was a futile clown act, I was carried away into the universe of hundreds of millions of light-years."
고라니 고속도로
시집 <보이는 혹은 보이지 않는> ,<연작시 : 화전>, <슬픔이라는 이름의 성역> 등을 펴낸 온형근의 신작 시집. 보임과 보이지 않음, 그리고 깨달음으로 이어지는 실사구시의 수행을 흔쾌히 주고받는 저자의 마음이 총 5부로 나누어 수록되어 있다.
- 저자
- 온형근
- 출판
- 문학의전당
- 출판일
- 2007.01.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