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고라니고속도로

테니스 앨보

나무에게 2013. 12. 27.

테니스 앨보

온형근

 

 

 

붙잡을만한 튼실한 것들
곳곳 삐죽 뻗기만 하면 매달릴 수 있는 것들
손이 민망해 스치기만 해도 달라붙는 것들은
밀쳐내는 부력을 가졌다
낯설어져 더 깊고
퍼즐처럼 짜 맞추기 어려워
낭떠러지처럼 심하게 갈라졌다

팔꿈치에서 삐그덕거리는 경고
일상의 널려 있는 자리에서
막힌 채 생동하는 앨보
제 것인 양 바닥을 기고
좌중에서 푹 익어가고 있다

몹시 매 맞아 시퍼렇게 멍든 언어의 기운
욱신거려 끝도 없는 나락
한참을 지나쳐
온몸의 장독을 다독거릴 수 있는
천근 같은 몸의 부분들이 각기
따로 앉아 둔덕을 이룬다

 


Tennis Elbow

Ohn Hyung-geun

 

 

 

Sturdy things to hold onto
Things that can be clung to if they just stick out here and there
Things that cling even when barely brushed due to awkward hands
Possess a repelling buoyancy
Become more unfamiliar and deeper
Difficult to piece together like a puzzle
Severely split like a cliff

 

A creaking warning from the elbow
In the spaces scattered throughout daily life
Elbow alive yet blocked
Crawling on the floor as if it owns it
Ripening deeply among the crowd

 

The energy of a language bruised blue from severe beating
Throbbing into an endless abyss
Passing far beyond
Able to soothe the jars of the whole body
Parts of the body as heavy as a thousand pounds each
Sit separately, forming mounds


시작 메모

팔꿈치의 통증이 일상을 깨운다. 주변의 모든 것들이 달라붙었다 밀쳐내기를 반복한다. 잡으려 해도 잡히지 않는 것들이 늘어간다. 낯선 고통이 더욱 깊어진다. 일상의 퍼즐이 맞추기 어려워진다. 몸의 한계를 느낀다.

삐그덕거리는 관절의 소리가 경고음처럼 들린다. 일상의 작은 움직임조차 불편해진다. 테니스 앨보는 마치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나를 지배한다. 바닥을 기어다니며 나를 괴롭힌다. 고통이 익숙해져 간다.

멍든 언어처럼 아픔이 온몸을 휘감는다. 끝없는 나락으로 빠져드는 듯하다. 천근처럼 무거운 몸의 부분들이 각자의 자리를 찾아간다. 고통의 둔덕 위에서 새로운 일상을 마주한다. 아픔과의 공존을 배워간다.


The pain in the elbow disrupts daily life. Everything around clings and pushes away repeatedly. The things that cannot be grasped keep increasing. The unfamiliar pain deepens. The puzzle of daily life becomes harder to solve. The limits of the body are felt.

The creaking sound of the joints feels like a warning signal. Even small movements in daily life become uncomfortable. Tennis elbow dominates me like a living creature. It crawls on the floor and torments me. The pain becomes familiar.

Pain wraps around the body like bruised language. It feels like falling into an endless abyss. The heavy parts of the body, like a thousand pounds, find their places. On the ridge of pain, a new daily life is faced. Learning to coexist with the pain.

 

"몹시 매 맞아 시퍼렇게 멍든 언어의 기운 욱신거려 끝도 없는 나락 한참을 지나쳐 온몸의 장독을 다독거릴 수 있는 천근 같은 몸의 부분들이 각기 따로 앉아 둔덕을 이룬다. The energy of a language severely beaten and bruised throbs, passing through an endless abyss, the heavy parts of the body that can soothe the jars of the whole body sit separately, forming mounds"

 

 
고라니 고속도로
시집 <보이는 혹은 보이지 않는> ,<연작시 : 화전>, <슬픔이라는 이름의 성역> 등을 펴낸 온형근의 신작 시집. 보임과 보이지 않음, 그리고 깨달음으로 이어지는 실사구시의 수행을 흔쾌히 주고받는 저자의 마음이 총 5부로 나누어 수록되어 있다.
저자
온형근
출판
문학의전당
출판일
2007.01.30

'::시집:: > 고라니고속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탱탱한 종아리  (0) 2013.12.27
별도 달도  (0) 2013.12.27
아침 햇살  (0) 2013.12.27
간肝  (0) 2013.12.27
화농化膿  (0) 2013.12.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