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月白藝術126 결과 결과 결과에 대한 집착 없이 의무를 행하는 것만으로 만족한다면, 이것이 곧 중도이자 연꽃과 같은 청정한 삶이다. ::月白藝術 2015. 8. 6. 꽃향기 꽃향기 꽃향기는 바람에 거슬러 가지 않는다. 사람의 향기는 바람을 거스르니 모든 방향에 두루 퍼짐이다. ::月白藝術 2015. 8. 6. 연꽃 연꽃 연꽃은 늪이 더럽다 여기지 않기에 꽃을 피운다. 연꽃은 늪이 더럽다 여기지 않기에 꽃을 피우고, 연꽃이 있기에 늪 또한 가치가 있다. 속이 있기에 성이 있고, 성이 있기에 속이 있다. 그 둘은 뗄 수 없는 연기의 관계다. ::月白藝術 2015. 8. 6. 그대에게 그대에게 그대를 취해 얻으면서도 꽃의 향기를 간직한다. ::月白藝術 2015. 8. 6. 보람 보람 하루의 보람은 한순간의 마음가짐에서 얻어진다. ::月白藝術 2015. 8. 6. 삶 깨끗이 평화롭게 살다가 향기롭게 사라지는 삶 ::月白藝術 2015. 8. 6. 명상 명상 명상을 통해서 우주적인 나를 직관하여 해탈하고, 말과 자신을 초월하여 모든 존재 속에서 자기 자신을 본다. 이때, 사람은 크나큰 사랑과 동정이 솟는다. ::月白藝術 2015. 8. 6. 열반 열반 고요함 속에서 고요함을 떠나라. 무여열반. nirvana 번뇌 속에서 번뇌가 없어라. 마음을 억제하여 고요히 간직하고 몸을 항상 움직여서 자기의 맡은 바 의무를 다하는 자가 바로 보살이요. 행동하는 완성된 수행자다. ::月白藝術 2015. 8. 6. 초작超作 초작超作 행위를 하면서도 걸림이 없어라. 즐거움과 자연스러운 춤사위? ::月白藝術 2015. 8. 6. 삼매三昧 깨끗한 마음의 지극한 고요함 ::月白藝術 2015. 8. 6. 즐거운 희망 즐거운 희망, 이 세상 모든 착한 것의 뿌리 ::月白藝術 2015. 8. 6. 참한 보슬비 참한 보슬비가 내린다. 하늘은 낮게 드리웠지만 나무들은 여전히 뜨겁게 달구어져 있다. 저 나뭇잎들이 훅훅 뿜어내는 열기가 피부를 쏜다. ::月白藝術 2015. 8. 6. 화락천지정 花落天地靜 꽃 문득 떨어지니 천지가 고요하다. ::月白藝術 2015. 8. 6. 건드릴 때마다 은은한 향기 오래도록 건드리기만 해도 아팠던 장미 가시 같은 실연의 기억, 이제는 건드릴 때마다 은은한 향기를 내는 예쁜 향주머니가 되다니. -한비야, [그건, 사랑이었네] ::月白藝術 2015. 8. 6. 정성을 다해 처음 하듯이 새로운 마음을 내서 정성을 다해 처음 하듯이 ::月白藝術 2015. 8. 6. 벼랑 끝에 나를 세워라 어디로도 물서설 곳이 없는 벼랑 끝에 자신을 세워라. 벼랑 끝에서 나를 단련하라. ::月白藝術 2015. 8. 6. 수지함로數枝含露, 권근-이슬 먹은 몇 가지 이슬 먹은 몇 가지 -권근, 봄날 성남에서(春日城南卽事) 봄바람 어느새 청명에 가까워 보슬비 보슬보슬 늦도록 개지 않네. 집 모롱이 살구꽃 활짝 피어나려는 듯 이슬 먹은 몇 가지 날 향해 기울었네. (우리 한시 삼백수, 정민, 김영사, 2014.) 春日城南卽事 - 權近 春風忽已近淸明 춘풍홀이.. ::月白藝術 2015. 6. 2. 지원차타志願蹉跎, 이첨-뜻 어그러지다 뜻 어그러지다 -이첨, 게으름이 심하여(용심) 평생에 품은 바람 이미 다 글렀으니 게으름 열 배 더함 어이하지 못하겠네. 낮잠서 깨어나니 꽃 그림자 돌아 있어 어린 아들 손을 잡고 새 연꽃을 보노라. (우리 한시 삼백수, 정민, 김영사, 2014.) 平生志願已蹉跎 평생지원이차타 爭奈疎용.. ::月白藝術 2015. 6. 1. 춘풍추상 부드럽게 엄격하게 ::月白藝術 2015. 5. 30. 신재화도身在畵圖, 정도전-그림 속 그림 속 -정도전(鄭道傳), 방김거사야거(訪金居事野居) 가을 그늘 막막하고 온 산은 비었는데 지는 잎 소리 없이 땅에 가득 붉구나. 시내 다리 말 세우고 갈 길을 묻노라니 이내 몸 그림 속에 든 줄도 몰랐었네. (우리 한시 삼백수, 정민, 김영사, 2014.) 秋陰漠漠四山空 추음막막사산공 落葉.. ::月白藝術 2015. 3. 8. 일모연저日暮烟渚-김구용,안개짙은 강가에 하루가 저문다 들풀 -김구용野草 가녀린 들풀에 저절로 꽃이 피고 돛 그림자 용인 듯이 수면 위에 빗겼구나. 저물녘엔 언제나 안개 물가 기대 자니 대숲 깊은 곳에 인가가 묻혀 있네. (정민, 우리한시 삼백수, 김영사, 2014.) 纖纖野草自開花 섬섬야초자개화 檣影如龍水面斜 장영여룡수면사 日暮每依烟渚.. ::月白藝術 2015. 2. 27. 고영미음高詠微吟-정몽주, 시를 읊는 것 시 짓는 일 -정몽주 吟詩 아침 내내 읊조리다 또 가만히 웅얼대니 모래를 헤쳐내어 금싸라기 줍는 듯. 시 짓느라 비쩍 마름 괴이타 하지 말라 좋은 시구 찾기란 언제나 힘든 것을. (정민, 우리한시 삼백수, 김영사, 2014.) 終朝高詠又微吟 (종조고영우미음) 若似披沙欲練金 (약사피사욕련금) .. ::月白藝術 2015. 2. 26. 춘풍호거春風好去 - 봄바람아 잘 가거라 봄바람 - 조운흘, 봄을 전송하는 날 벗과 헤어지며 귀양길 애달파라 눈물을 흩뿌리며 봄과 벗을 아울러 전송하고 돌아오네. 봄바람아 잘 가거라 붙들 뜻이 없거니 인간 세상 머문대도 시비나 배우겠지. (정민, 우리한시 삼백수, 김영사, 2014.) 송춘일별인(送春日別人) 謫宦傷心涕淚揮(적환.. ::月白藝術 2015. 2. 22. 한거잉득閑居剩得-한가로움 실컷 보슬비 - 이색 小雨 보슬비 보슬보슬 작은 마을 어둡고 남은 꽃 점점이 빈 동산에 떨어진다. 한가한 삶 유연한 흥취가 거나하여 손님 오면 문을 열고 손님 가면 문을 닫네. (정민, 우리한시 삼백수, 김영사, 2014.) 細雨濛濛暗小村 (세우몽몽암소촌)餘花點點落空園 (여화점점락공원).. ::月白藝術 2015. 2. 21. 洗盡陰邪세진음사-못된 기운 다 말끔히 씻겨 동지팥죽-이색 나라 풍속 동지에는 팥죽을 되게 쑤어 푸른 사발 그득 담자 짙은 빛깔 뜨는구나. 산꿀을 섞어 타서 후루룩 마시면 삿된 기운 다 씻겨서 뱃속이 든든하리. (정민, 우리한시 삼백수, 민영사, 2014년.) 冬至鄕風豆粥濃(동지향풍두죽농) 盈盈翠鉢色浮空(영영취발색부공) 調來崖蜜.. ::月白藝術 2015. 2. 20. 호연귀지浩然歸志-호연히 돌아갈 뜻 여강 - 이색(여강에서 마음이 심란하여 驪江迷懷) 천지는 가이없고 인생은 덧없거늘 호연히 돌아갈 뜻 어디로 가려 하나. 여강 한 굽이 산은 마치 그림 같아 반쯤은 그림인 듯 반쯤은 시인 듯. (정민, 우리한시 삼백수, 김영사, 2014.) 驪江迷懷 - 李穡天地無涯生有涯[천지무애생유애] 浩.. ::月白藝術 2015. 2. 18. 좌와경행坐臥經行-앉고 눕고 산보하다 세 칸 집 -혜근(산속 집의 노래)흰 구름 쌓인 곳에 세 칸 집 짓고 사니 앉고 눕고 다녀도 한가롭기 그지 없네 쟁글 쟁글 시냇물은 반야(般若)를 예기하고 맑은 바람 밝은 달은 온몸에 서늘해라. (정민, 우리한시 삼백수, 김영사, 2014.)山居 - 慧勤白雲堆裏屋三間[백운퇴리옥삼간] 坐臥經行.. ::月白藝術 2015. 2. 18. 천흉세담穿胸洗膽, 가슴 뚫어 간담을 씻다 산집에서-혜근(慧勤) 산에서 살고부터 산이 싫지 않으니 사립문 초가집도 속세와는 같지 않네. 맑은 바람 흰 달빛 처마 밑을 씻어주고 시냇물 가슴 뚫어 간담마저 서늘해라. (정민, 우리한시 삼백수, 김영사, 2014.) 我自居山不厭山(아자거산불염산) 柴門茅屋異人間(시문모옥이인간) 淸風和.. ::月白藝術 2015. 2. 17. 아름다운차문화학교 수료식 수료를 축하합니다. ::月白藝術 2014. 10. 11. 크래프트지 [크라프트지 판매 전문 지업사 - 정문사] 충무로 인쇄골목에서 오직 크라프트지만 취급하는 지업사 입니다. http://cafe.daum.net/ggline/RmDy/7?sns=mypeople 크래프트지 판매 임시 저장 ::月白藝術 2014. 2. 23. 이전 1 2 3 4 5 다음